근거리 오래보면 시력 나빠질까?
안녕하세요! 구리시 인창동의 시유 안경원입니다:)
우리는 어렸을때 혹은 부모님들은 아이가 가까이 오래보면 시력 나빠진다는 이야기를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꺼 같아요! 오늘은 가까이 오래보면 시력 나빠질까? 이부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근거리를 오래본다는건 스마트폰,태블릿,컴퓨터,독서,학습 등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대표적인 상황은 스마트폰 또는 책 을 꼽을 수 있을거 같습니다.
근거리 오래보면 시력이 나빠질까?
근거리를 오래보면 시력이 나빠진다고 100% 말할 수 없지만 대부분 안전문가들은 근거리 시습관에 올바르지 못한 습관에 의해서 근시가 급격하게 진행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특히 성장기에 아이들은 축성근시가 많은데요!
축성근시는 안축장의 길이가 증가할 수 록 근시가 증가되게 되는데 이때 가까이 오래보는 시간이 많을수록 근시는 증가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근거리 오래보면 시습관이 중요합니다.
앞서 근거리 오래보면 눈에 상당한 부담을 주기 때문에 습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시력이 저하되는 원인은 유전적인 이유도 있고, 환경과 습관에 따른 후천적인 이유로 나뉠수 있습니다.
현대 디지털시대는 후천적인 이유로 시력저하를 많이 겪고 있고 2050년도에는 인구에 절반이 근시로 안경을 착용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안일하게 넘어갈 수 없는 부분이 바로 시력이죠! 후천적인 요인 환경과 습관은 어떤 부분이 시력저하를 불러올까요? 가장 대표적인 부분은 어두운곳에서 엎드려서 스마트폰이나 책을 읽거나 옆으로 누워 보는것은 아주 치명적인 단점이 되겠습니다.
또한 책상에 앉아서 공부,PC,업무 등 할때는 바른자세와 바른거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책을 읽을때는 항상 40cm 거리를 유지하는게 좋고, PC거리는 65~70cm 유지를 해야 눈에 안정피로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또한 직장인 분들은 컴퓨터 업무를 보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부분도 매우 신경써야 시력저하 부분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근거리 오래보면 시력저하가 생긴다고 많은 분들이 이야기하는 이유중 하나인 부분이 바로 올바르지 않은 자세에서 모니터 속으로 들어가려하는 자세로 컴퓨터를 하는것이죠.. 사실 우리는 이러한 자세가 좋지 못하는걸 알고 있지만 무의식 중에 그림과 같은 자세를 하고 있게 됩니다. 저렇게 되면 거북목으로 고생도 하게 되지만,
눈에 시력저하와 함께 조절문제로 노안이 빨리 오게 될 수 있습니다.
그림을 보고 설명을 드려볼게요! 우리는 가까운곳을 볼때 수정체가 볼록해지고, 멀리볼때는 수정체가 얇아지죠!
이러한 부분을 조절이라고 하는데~ 근거리 오래보면 오양체근 수축에 무리가오게 되어서 시력저하와 노안이 빠르게 올 수 있는거죠!
노안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는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요즘 스마트폰과 과도한 디지털기기 사용으로 젋은층에서도 발생하는 중년안이란 말이 생겨났을 정도이기 때문에 항상 근거리 오래보면 시력저하를 신경써서 눈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근거리 오래보면 시력저하가 올 수 있기 때문에 눈 관리 중요!
근거리 오래보면 시력저하 올 수 있기 때문에 눈 관리가 매우 중요해요~ 어두운 곳에서 보는 습관은 자제하는게 좋습니다. 우리눈은 어두운곳에서 피로를 더욱 많이 느끼게 됩니다!
업무나 공부를 하는 책상 앞에 스탠드를 두는 경우는 뒤쪽에서 앞으로 오게 향하는게 좋고, 형광등 보다는 LED를 사용하면 눈의 피로를 조금더 줄일 수 있습니다.
눈의 피로가 회복되지 않으면 안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충분한 눈 운동과 함꼐 눈의 휴식이 매우 중요하고, 과도한 디지털기기 사용은 시력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자제해 주는게 좋습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눈을 감고 있는 시간을 틈틈이 갖는게 중요하고 녹색의 나무들을 바라보는것도 눈 피로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저희 블로그를 보시면 여러가지 눈 피로 관련 포스팅이 있어서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선글라스 자외선 차단 확인하세요 (0) | 2023.03.17 |
---|---|
눈 떨림 원인과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세요 (0) | 2023.03.10 |
눈이 보내는 건강 신호 알아보세요 (1) | 2023.01.07 |
안구건조증 증상과 예방에 대하여 (2) | 2022.12.23 |
노안 테스트? 간단하게 해보세요 (0) | 2022.12.16 |
댓글 영역